본문 바로가기

통장분개

[생정] 사회초년생부터 관리하는 나만의 통장 관리법 2탄

2020. 10. 29.

사회초년생부터 관리하는 나만의 통장 관리법 2탄


2020/10/27 - [일상의 여유/티끌모아 태산] - [생정] 사회초년생부터 관리하는 나만의 통장 관리법 1탄




1. 통장에 월급은 어떻게 배분해야 좋을까? - 필요 내역 정리


 구분

시급 

 월급

 2021년도

8,720원 

1,822,480원 

 2020년도

8,590원 

1,795,310원 


자신의 월급을 최저임금으로 볼 때 내가 지향하는 통장 정리 법을 소개하려고 한다

제 1편에서 통장의 수의 따라 몇 가지 정보와 함께 추천 될 사항을 적어봤는데, 

매달 마다 관리하는 배분을 어떻게 할 것 인가. 


각자 연봉이나 사회적 위치, 직업 등 요소가 많으므로 예시를 들어본다.

(ex. 보증금 1000 월세 50)


고정 변동

실급여

   1,795,310

분류

기준

지출총액

세부내역

1

2

3

4

5

고정지출

월세

       500,000

    500,000

 

 

 

 

공과잡비

         31,550

      12,500

        5,050

      14,000

 

 

보험비

       100,000

    100,000

 

 

 

 

적금

         50,000

      50,000

 

 

 

 

청약

       100,000

    100,000

 

 

 

 

폰비

         65,410

      65,410

 

 

 

 

부조금

         50,000

      50,000

 

 

 

 

식대

       350,000

    350,000

 

 

 

 

기타

 

 

 

 

 

 

     1,246,960
실급여-지출총액        548,350


20년을 기준으로, 실급여가 금액이라 할 때, 나의 경우엔 크게 해당 내용을 적어 관리하는데,

고정 비용(매달 들어가는 비용)이 오차가 있더라도 넉넉하게 금액을 산정하거나 원단위를 전부 천단위로 관리한다.

파란 글씨는 매달 틀려지는 비용 (실질적으로 몇백원, 크게 차이나면 1~2만원밖에 차이나지 않음)이지만,

전 달 기준으로 하여 정확한 금액을 적는다. 사실 나의 경우엔 보험비 기타 비용도 정확한 금액으로 보지만..)



사실 여러가지 기준이 다르겠지만 이전 글에서 다뤘듯이 대략 100~150만원의 추세로 생각했을 때, 

실급여 기준으로 내가 조정하는 건 저 548350원 선에서 개인 비용 유동성이 있는 셈이다.

사실, 돈이 여유치 않을 때는 적금이나, 부조금(비상금명목) 을 빼지만서도..ㅠㅠ


: 사실 금액 자체를 최대치로 산정 하기 때문에 가계부를 따로 크게 작성하지 않아도 저 한달의 큰 지출총액에서 많이 차이 나지 않음..


분류

품목

지출총액

비율

고정지출

월세

       500,000

40%

공과잡비

         31,550

3%

보험비

       100,000

8%

적금

         50,000

4%

청약

       100,000

8%

폰비

         65,410

5%

부조금

         50,000

4%

식대

       350,000

28%

기타

 

 


사실 월세를 줄이고 싶지만, 월세...를 줄일 수 없..다는 건 안 비밀 ㅠㅠ




2. 통장에 월급은 어떻게 배분해야 좋을까? - 개인통장 분개하기


1) 월급날을 기준 ± 1~2일로 전 월에 지출 잔액을 천단위로 하여 개인통장에 입금

2) 급여 입금 후 자동이체를 제외한 이체 처리

   (자동이체는, 월급날 이후 최대한 가까이에 둠, 보험비나 핸드폰 비용의 경우엔 5일이나 10일단위에 빠져나가는 경우가 있어,

   15일날 월급이 들어온다면 그 이후로 설정함)


3) 실급여-지출총액을 뺀 나머지 개인 통장 입금.

 


일때, 개인통장 548,000원 가정했을 때, 개인통장 금액 관리법을 표로 정리 한다, 

(ex) 26주 적금 2개(카뱅)


금일 기준으로 26주(6개월 동안 개인 비용을 산정했을 때, 

총 적금금액은 총 1,053,000+702,000) = 1,755,000원

비상금은 915,000원을 모을 수 있다. 

사실 절처한 계산 아래, 대략적인 건별로 나누면 6개월동안 총 250~260만원이 수중에 떨어지며, 

급전 비용을 한달마다 적금을 통으로 넣었을 때, 41만원이 되는 셈이다. 


이런 계획을 짜기 번거롭다면, 그냥 40만원씩 한 계좌에 모아두어도 거의 같은 금액이 산정되지만. 

변동되는 금액을 관리하기엔 이런 방법이 좋은 것 같다. 


사실 정말 아프거나, 지출이 더 많다거나 하는 일이 있을 수 있으니까

비상금은 모아두거나 이월 시켜 다음달 대비를 하는 것이 좋다는 게 내 의견. 


이렇게 모아두어도 마지막 21,000원이 남는다.


2020/07/02 - [일상의 여유/티끌모아 태산] - [적금] 카카오뱅크 26주 적금 : 만기 달성


 

26주적금

계좌

 비상금총비용(고정)

월 개인 총 비용 

잔액

 비고 

입출금통장

세이프박스

 1. 3천증액 

 2. 2천증액 

 개인용돈 

 단기/급전 

 비상금1(월) 

 비상금2(주) 

1

2020-10-29

         3,000

 

 

 

 

 


3,000

 


 

2

2020-11-05

   6,000

 2,000

100,000

      55,000

      50,000

 15,000

120,000

 228,000

492,000

56,000

 

3

2020-11-12

       9,000

        4,000

 

       55,000

 

    15,000

70,000

 83,000

 

4

2020-11-19

      12,000

        6,000

 

       55,000

 

    15,000

70,000

 88,000


5

2020-11-26

       15,000

        8,000

 

        55,000

 

    15,000

70,000

 93,000

 

6

2020-12-03

       18,000

      10,000

100,000

     55,000

      50,000

    15,000

120,000

 248,000

 470,000

 78,000

 

7

2020-12-10

       21,000

      12,000

 

 

 

    15,000

15,000

48,000

 

8

2020-12-17

       24,000

      14,000

 

 

 

    15,000

15,000

53,000

 

9

2020-12-24

       27,000

      16,000

 

 

 

    15,000

15,000

 58,000


10

2020-12-31

       30,000

      18,000

 

 

 

    15,000

15,000

 63,000

 

11

2021-01-07

       33,000

      20,000

100,000

 

      50,000

    15,000

65,000

218,000

 452,000

 96,000

 

12

2021-01-14

       36,000

      22,000

 

 

 

    15,000

15,000

 73,000

 

13

2021-01-21

       39,000

      24,000

 

 

 

    15,000

 15,000

78,000

 

14

2021-01-28

       42,000

      26,000

 

 

 

    15,000

15,000

 83,000

 

15

2021-02-04

       45,000

28,000

100,000

 

      50,000

    15,000

 65,000

238,000

532,000

16,000

 

16

2021-02-11

       48,000

30,000

 

 

 

    15,000

 15,000

     93,000

 

17

2021-02-18

       51,000

      32,000

 

 

 

    15,000

 15,000

     98,000

 

18

2021-02-25

       54,000

      34,000

 

 

 

    15,000

15,000

   103,000

 

19

2021-03-04

       57,000

      36,000

100,000

 

 

    15,000

15,000

   208,000

562,000

-14,000


20

2021-03-11

       60,000

      38,000

 

 

 

15,000

15,000

   113,000


21

2021-03-18

       63,000

     40,000

 

 

 

   15,000

15,000

118,000


22

2021-03-25

       66,000

      42,000

 

 

 

    15,000

15,000

   123,000


23

2021-04-01

       69,000

      44,000

100,000

 

      50,000

    15,000

65,000

278,000

 759,000

-211,000


24

2021-04-08

       72,000

      46,000

 

 

 

    15,000

15,000

133,000

 

25

2021-04-15

       75,000

      48,000

 

 

 

    15,000

15,000

138,000

 

26

2021-04-22

       78,000

      50,000

 

 

 

    15,000

15,000

143,000


27

2021-04-29

 

      52,000

 

 

 

    15,000

15,000

67,000

 

1,053,000

702,000

600,000

275,000

250,000

390,000

915,000


21,000






댓글

[생정] 사회초년생부터 관리하는 나만의 통장 관리법 1탄

2020. 10. 27.

사회초년생부터 관리하는 나만의 통장 관리법 1탄



사실상 수입이란 월급 밖에 없는 월급쟁이로써. 월급을 내 수익의 전부로 보고 계산했을 때

20대 초반 부터 진행 되 온 나의 통장정리 법을 소개하려고 한다.

지금 나한테 개설된 계좌 중에 통장의 갯수는 총 5~6개 정도 보면 된다.

학교를 졸업하고 나서 직장에 다니고 부터 천천히 나의 자산의 대하여 부모님에게 돈을 관리하는 법을 배운 후로 

부모님이 관리해주시는 내 명의 통장을 인계 받았다. 

일단 통장은 기본적으로 4개 쯤 늘려야 편하다. 계좌이체라던지, 자산을 늘리는 기초가 된다라는 게 내 지론...?

사실 첫직장에 통장이 주거래은행이 되는 경우가 많던데...


 주거래은행 편


1. 주택청약통장


주택청약통장은 개인당 1개 밖에 개설이 안되므로, 주거래 은행에서 개설하는 게 좋다. 

무주택자가 주택청약 시 납입횟수에 따라 가산점을 부여 받고, 그 금액이 많을 수 록 유리하기 때문. 

나중에 집이나 차 마련으로 쓸 때 묵돈이 도움이 된다는것이다.

2만원에서 50만원씩 자유 10만원씩 적금 든다 생각하고, 10만원을 넣는 걸 추천한다.


: 난 19세 지나자마자 아빠가 개설을 이미 해논 상태로, 현재 개설일부터 10년째 이용하고 있다.

그 전에는 아빠가 3만원씩 넣어줘서 현재 납입 회차는 90회 인정으로 되어있다.


가) 청약통장의 1순위 조건

1) 가입 후 경과 년 수 : 2년 경과.

2) 가입 후 납입금 24회 이상

    : 24개월(24회차). 회차로 1회당 10만원까지 인정하므로 10만원씩 넣는게 유리)

3) 예치 금액 : 예치 금액이 많을 수록 좋다.



(참조 : 청약홈)







나) 소득공제 조건


근로소득이 있는 거주자(일용근로자 제외)로서

총급여액이 7천만원 이하이고, 과세연도 주택을 소유하지 아니한 세대의 세대주가 본인명의로 해당연도에 주택마련저축에 납입한 금액의 40%를 공제함


연납입액 240만원의 소독공제를 받을 수 있으니, 월 20만원까지도 납입해도 좋으나, 가)의 조건이면 10만원이 적당하다.


기본 은행 청약 말고도 청년우대형청약통장도 있으니, 기존 청약통장이 있다면 변경.. 추천.


기존에 청약통장을 가지고 있었다면 전환신규로 가입이 가능하며 

(이 경우에는 지금까지 납부한 개월수는 인정되지만, 우대이율이나 비과세 혜택은 전환 이후에 납입한 금액만 혜택을 받을 수 있다)

필요한 서류는 ISA(소득증빙서류), 주민등록등본(초본X), 신분증


* 2020.11.13 내용추가


[2020 청년 우대형 주택청약종합저축]




나이: 19~34년 이하, (병역기간인정)-> 병적증명서 (필요시)

소득: 3천만원 이하, 직전년도 신고소득이 있는자.


- 필요서류(택1)


소득확인증명서(isa가입용), 

근로소득원천징수영수증, 

소득금액증명원,

사업소득 원천칭수 영수증, 

종합소득과 과세표준확정신고 및 납부계산서(세무사 확인본)

종합소득세용소득금액 증명원, 

기타소득 원천징수영수증


* 1년 미만의 소득자의 경우 급여명세표

(근로 소득 원천징수부, 임금대장, 갑근세원천징수확인서 등 소정야식의 출력물로써 회사의 직인이 찍힌 것은 인정)


주택소유

1.본인이 무주택인 세대주 

주민 등초본 1부(세대주 3개월 유지 확인 가능 서류)

2. 본인이 무주택이며, 가입후 3년 내 세대주 예정자.

주민등록 등초본(3년내 세대주변경, ((3개월유지포함)),증빙해지전까지 제출.

3. 무주택세대의 세대원

주민등록등본+세대원 전원의 지방세과세증명서


* 무주택 세대: 가입자 등본상 등재된 세대원 중 본인, 배우자 및 직게 존.비속 




2. 월급 통장 


월급을 받을 은행 통장. 

통장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당행(타행) 이체 수수료 면제가 기본이다.

50만원 이상 3개월 정도 이체(비고란으로 급여) 내역으로 이체내역이 찍혀야 되는 걸로 알고 있는데,

개설 된지 오래여서 은행에 문의해서 받는 게 좋을 듯 하다.


또한 해당 VIP의 조건이 된다면 해당 수수료를 감면 받을 수도 있다. 나는 VIP실버고객임 쿄쿄



(나의 주거래은행 기준 *기업은행*)


3. 소비 통장


급여 외에 모두 나가는 모든 비용 등을 계좌이체 해놓는다.

자동이체가 걸려있는 (공과금, 보험비, 핸드폰비) 등 고정지출비용은 한 계좌로 처리하면 편리한 것 같다.

체크카드 겸용의 교통비도 소비통장의 연결 카드로 해놓으면 그야말로 소비통장...


: 월급에서 소비의 비중을 50% 이상 이체 해놓는게 심적으로 마음이 편하다.

월급을 받은 순간부터 이체를 소비통장으로 처리해놓는다.

몇십만원씩 월급통장에서 이체하는 횟수도 좀 줄이고자 함. 

(나의 예전 소비론 넉넉하게 120~150만원의 지출로 생각)









#카카오 뱅크 이용


4. 개인통장 / 비상금 통장 (세이프박스, 저금통)


개인통장에 들어가는 비용은 (월급통장 전월 +소비통장의 전월 잔액)으로 

익월 받는 월급을 제외한 모든 잔액을 원단위 까지 이체하여 관리한다.


EX) 월급통장  / 소비통장 잔액

57,123원 / 15,238원 = 72,361원


개인 통장 금액 = 72,361원이 되며, 

개인통장과 연결된 비상금통장(저금통) 매일 밤 동전 모으기를 통해 잔액을 모으며, 

그 외 정말 쓰면 안되는 개인 비용을 세이프박스에 묶어 놓는다.


※ 저금통 잔액 확인

2020/07/03 - [일상의 여유/티끌모아 태산] - [저축] 카카오뱅크 저금통 금액 보는 법



개인 통장에 매 달 마다 모은 돈이 얼추 모인다거나

적금을 꼭 필요로 할 시엔 적금통장을 만들어 묵돈을 모음

급여 부분에서 사실 1~3번의 들어가는 소비지출을 줄여서 4~6번에 분배하는 것으로, 

소비를 줄여서 처리해야 하는 게 우선이라고 생각한다.


5. 적금통장 (+26주만기적금)


사실 사회초년생에 한해서 3년 거치형 금리우대 적금이 있다.

나같은 경우엔 5프로 정도? 로 해서 신한은행에 고이율 적금을 이용한 적이 있었는데, 

그런 특수 적금이 아니며, 1년은 좀 길어! 라고 하는 사람들은 26주 적금을 추천한다.

들어가는 비용도 산정가능하고, 무엇보다 주마다 들어가는 비용이 크지 않아 좋다.


※ 카카오 26주 만기 해약


댓글